thumbnail
제로원리퍼블릭 (스코디)
코드로 세상을 바꾸다, 제로원리퍼블릭. SaaS 관리는 스코디!
#스코디#SaaS#구독#관리#B2B#제로원리퍼블릭
thumbnail
제로원리퍼블릭 (스코디)
코드로 세상을 바꾸다, 제로원리퍼블릭. SaaS 관리는 스코디!
#스코디#SaaS#구독#관리#B2B#제로원리퍼블릭
위치
서울
서비스 분야
SaaS
투자 단계
Seed (2024.03.)
finance누적 투자 유치액
미공개
account-group-outline전체 / 개발자
3명 / 2명
해결하는 문제창업 스토리팀원을 위한 노력보상 및 복지팀 문화채용설명회위치
해결하는 문제

제로원리퍼블릭의 SaaS 관리 솔루션 ‘스코디’는 기업들이 운영/협업간 사용하는 구독서비스의 흩어진 관리정보를 ‘한 곳에 모으고’ ‘자동화된 관리’를 제공해 ‘누수되는 비용의 위험과 SaaS 관리에 드는 비용’을 낮춥니다.


  1. 기존 ‘구독서비스 관리’ 모델은 ServiceNow, OKTA 등이 지난 10여년간 운영해온 모델로 검증된 수요가 있습니다. 기존에는 무겁고 복잡한 시스템으로 인해 도입비용이 높아 주로 대형 엔터프라이즈를 대상으로 제공 되었으나, 가볍고 도입비용이 낮은 경량화된 서비스로 1% 엔터프라이즈 보다 99% SME 시장을 타겟팅 할 수 있습니다.
  2. 현존하는 SaaS 관리를 표방하는 서비스의 주요 패러다임은 ‘카드 내역 분석’과 ‘서비스별 API 연동’에 국한되고 있습니다. 이 방식은 카드연동의 ‘금융규제 이슈’와 ‘개별서비스의 API 의존성’ 한계가 있습니다. 스코디는 ‘이메일 분석’과 ‘스크래핑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어 규제 및 의존성으로 부터 자유롭고, 넥스트 패러다임을 이끌며 선점효과를 노려 볼 수 있습니다.
https://groupby-public-image.s3.ap-northeast-2.amazonaws.com/startups/715/1732682659/스코디_제로원리퍼블릭_유튜브_scordi_01republic.png
창업 스토리
Q. 제로원리퍼블릭 (스코디) 어떻게 창업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제로원리퍼블릭 공동대표 김용현입니다.


노래방 음역대 추천 플랫폼, 웨딩/가족사진 전문 플랫폼 도전을 시작으로 IT 스타트업 창업에 눈을 떴습니다. 이후 오늘식탁에 합류해 오늘회 초기 이커머스 서비스 전체 구축을 한 뒤 고미코퍼레이션 코파운더 & CTO로 합류하게 되었습니다. 동남아시아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플랫폼 고미몰을 운영하며 seed부터 Series A 라운드까지의 투자유치를 성공했습니다. 그 외에도 TIPS, 아기유니콘 등에 선정되는 등의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C레벨이자 코파운더로서 조직문화와 운영 효율화 개선에 힘쓰는 일들이 많아지던 날, 아끼는 팀원들이 비효율에 허덕이며 힘들어 하는 일들을 자주 발견했습니다. 특히 운영업무는 조직을 관리하는 데에 빠질 수 없는 일이지만 모두가 소홀히 하게 되는 일이었으며, 이는 팀원들에게는 커리어의 걱정을 낳아 퇴사를 고민하게 되는 심각한 일이었습니다. 게다가 런웨이를 체크하다가 발견하게 된 새는 돈들과 낭비된 시간들도 결국 운영업무를 사람으로 때우려다 발생된 참사인 경우도 꽤나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새로운 창업을 결심하게 되어, 현재 제로원리퍼블릭 팀을 이끌며 스코디 제품을 만들고 있습니다.

Q. 제로원리퍼블릭 (스코디) 어떤 회사인가요?

제로원리퍼블릭 팀은 풀기 어려운 문제를, 좋은 사람들끼리 모여, 재밌게 풀면서, 돈까지 벌며 세상을 혁신하고 싶은 사람들입니다. 우리는 인간을 기술로 편리하게 만들고 싶어, 코드로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믿습니다. 우리는 고통스러운 업무로부터 자유로워지는 해방감을 모든 이들에게 선사하고 싶습니다. 그래서 업무의 비효율 문제를 가장 먼저 해결하려 합니다.


실제 창업자들이 겪어왔으며, 한국에서는 글로벌 유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으며, 기술적 한계로 인해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영역의 SaaS 관리 문제를 타겟합니다. 제로원리퍼블릭 팀이 만드는 스코디는 다양한 업무 툴을 한 곳으로 모으고, 구독 정보를 시작으로 결제, 이용자 계정까지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SaaS 관리 서비스입니다. 우리는 더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업무에 맞게 더 똑똑하게 SaaS를 활용해 시간의 자유를 누릴 수 있는 것을 목표로 달려가고 있습니다.

Q. 현재까지 성과가 궁금해요

• 2022년 11월 설립

• 2023년 2월 엔젤투자 유치

• 2023년 4월 Co-founder 김규리 합류

• 2023년 8월 기술보증기금 자금조달 완료

• 2024년 1월 스코디 CBT 오픈

• 2024년 2월 가입 기업수 100개 돌파

• 2024년 3월 매쉬업벤처스 시드투자 유치

• 2024년 6월 가입 기업수 300개 돌파

  • 2024년 8월 기술특허 4건 출원 완료
  • 2024년 9월 신용보증기금 자금조달완료
  • 2024년 10월 중소기업진흥공단 자금조달완료
  • 2024년 11월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R&D 지원사업 팁스(TIPS) 프로그램 선정
Q. 제로원리퍼블릭 (스코디) 그리는 미래, 비전이 궁금해요

스코디는 SaaS계의 넷플릭스를 만듭니다.


현재, 엑셀로 수기로 기록하고 일일이 커뮤니케이션하며 구독을 관리해야했던 관습을 없앱니다.

구독 정보를 기반으로 기업의 산업군과 단계별로 업무 자동화를 위해 사용하면 좋은 SaaS를 추천해줍니다.

SaaS를 쓰는 팀은 더 싸게 쓰게 만들어줄 수 있고, SaaS를 파는 팀은 더 잘 팔게 만들어줄 수 있게 됩니다.

기업의 구독서비스를 로그인 연동 방식으로 한 데 모아, 이를 자동화 할 수 있는 구독/해지, 계정 추가/해제 기능을 고도화 합니다.

이에 따라 스코디를 통해 기업은 SaaS를 통합 구독할 수 있게 되고, 이는 SaaS 앱스토어로 기능하게 됩니다.

앱스토어 이후에는 패키지 구독을 통해 특정 1개 SaaS 구독하는 가격만 지불하면 100+@ 이상의 SaaS를 단번에 구독할 수 있는 게임체인저 앱을 만들려고 합니다.

넷플릭스의 오리지널 콘텐츠 처럼, 스코디 또한 SaaS 팀을 인수하고 린한 SaaS를 내부 개발하는 등의 방법으로 IP를 확보합니다.

자세한 비전은 만나서 공유드리고 싶습니다.

Q. 투자는 어떻게 받으셨나요?

우리가 투자를 받을 수 있던 이유는 우리였기 때문입니다.


굳이 하지 않을 것들을 해내면서 처절하게 임했고, 엔터프라이즈만을 타겟해야한다는 B2B 세일즈의 공식을 깼으며,

판매 전략과 제품 기능소개보다는 우리 팀의 진정성을 어필하며 관계를 만들었습니다. 굳이의 합이 모여 우리는 기적을 만들었습니다.


출처: ‘스코디’ 운영사 제로원리퍼블릭, 매쉬업벤처스서 투자 유치 | 서울경제 (sedaily.com)

Q. 어떤 분을 찾고 계신가요?

PEOPLE CODE

• 업무 시간 내 최대한 몰입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분

•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말할 줄 아는 사람, 이를 부끄러워하지 않는 분

•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하며, 성장감을 놓치지 않고 발전시키는 분

• 인사이트 공유나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안하여 이를 실행하는 분


TEAM SPIRIT

• 동료의 시간과 비용을 아껴줄 수 있고, 그에 대한 가치를 인정할 줄 아는 동료

• 서로 존중하여 솔직한 피드백을 제안하며 이에 감사를 느낄 줄 아는 동료

팀원을 위한 노력

추구하는 팀의 방향은 팀원들의 개성과 캐릭터를 조화롭게 섞는 거예요.


이러한 방향성을 위해서 믿음을 기반으로 팀을 운영하려고 하는 편이에요. 저는 가능한 한 모든 것을 내려놓고 팀원들과 정보를 공유하려고 해요. 사실 최고 권한 계정 같은 것도 모든 노트북에 공유해둘 정도로 팀원들을 신뢰하는 편입니다. 제가 알고 있는 정보를 팀원들도 동일한 수준으로 공유받게 해서, 같은 눈높이에서 판단하고 공감하면, 서로의 입장차이가 없이 협력할 수 있게 된다고 생각해요. 저는 대표라는 이유로 특별히 더 많은 정보를 독점하거나 "여기까지만 알아도 돼"라는 식으로 팀원들에게 정보 전달을 제한하는 걸 지양하려고 해요. 대신, 팀원들이 자기만의 색깔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어요. 이런 방식 덕분에 저보다 훨씬 유능한 사람들이 자신의 방식으로 더 잘 해내는 모습을 자주 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주변에 제 비전에 공감하고 역량 있는 사람들을 모아, 이들이 각자의 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게 더 맞다고 느껴요.


그래서 제가 자주 사용하는 표현으로는 "선장 없는 배의 선원들" 같은 팀을 만들고 싶다고 해요. 각자가 자기 분야에서 꿈을 펼칠 수 있고, 능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는 문화요. 그런 조직을 만들기 위해 저는 초기에는 팀의 중심이 되어 공정성 문제나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빠르게 처리하면서, 팀원들이 각자 맡은 역할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돕고 있고, 궁극적으로는 팀원들이 자율적으로 움직이며, 협력과 신뢰를 기반으로 성장할 수 있는 문화를 구축하고 싶어요.

보상 및 복지
Q. 얻을 수 있는 보상이 있나요?

보통은 성과가 보상이 되는 경우가 많지만, 저희는 과정 자체가 보상이 되는 팀이 되고 싶어요.


정량적인 보상으로는 스톡옵션이나 RSU 같은 실질적인 성과를 제공할 수 있고, 정성적인 보상으로는 "내가 스코디 초창기에 있었고, 이 회사를 여기까지 성장시키는 데 기여했다"는 자부심이 본인의 커리어로 이어지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그래서 저희는 "회사 차원에서 이런 걸 해야 한다"는 강요보다는, "당신의 커리어를 위해 이건 알아두는 게 좋아", "이런 경험을 쌓는 게 더 도움이 될 거야" 같은 소통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어요. 이런 대화를 통해 서로가 성장하고, 불편함 없이 배우고 함께 나아가는 분위기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팀 문화
Q. 조직문화는 어떤가요?

우리는 그저 우리의 모든 것을 공유하며 Pay it forward 하고 싶습니다.


스타트업 생태계에 발을 들이면 어려운 한계점을 무수히 많이 만납니다. 제품, 세일즈마케팅, 투자, 팀빌딩 등의 관점에서 직접 경험해본 사람들의 이야기는 정말 귀중합니다. 특히 그 중 삽질과 실패에 따른 배움을 공유 받는 것은 매우 드뭅니다. 우리는 우리의 부족함을 공개하며 강함을 보여주는 팀입니다. 발전할 지점이 많고 매일 성장을 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우리의 모습을 과감히 공유하는 것 자체가 우리가 가장 잘 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우리는 정답이 아닙니다. 하지만 우리였기에 지금까지 올 수 있었습니다.


제품 없이도 100개 넘는 B2B 고객들을 유저로 받아들여 현재 3천개 넘는 SaaS 구독 연동을 하는 것을 해냈으며, 팀빌딩 후 1년이 되었을 때 비로소 첫 투자유치에 성공했습니다. 끈기를 갖고 꾸준하게 문제해결에 집착해온 우리의 과정을 동료 스타트업을 위해 가감없이 공유하며 함께 성장하고 싶습니다.

Q. 어떤 분들과 일하는지 궁금해요
김용현 대표
10년차 개발자, 3번째 창업입니다. 대학생 창업으로 '노래방계의 왓챠' 서비스를 운영했습니다. 이후 프리랜서 생활을 하다 커머스 스타트업 ‘오늘식탁’ 초기 개발자를 거쳐 고미코퍼레이션에서 공동 창업자·최고기술책임자(CTO)를 맡은 뒤, 제로원리퍼블릭을 창업했습니다.
김규리 대표
IT 스타트업에서 마케팅으로 시작해 세일즈, 사업개발 등을 맡아 early-stage startup을 성장시키는 역할을 주로 맡았습니다. 대학시절, PD를 꿈꾸다 HCI와 UX에 눈을 떠 VR 게임과 웹앱을 만들었습니다. 이후 비즈니스모델과 GTM에 관심을 두며 스타트업 커리어를 시작한 뒤, 제로원리퍼블릭을 공동창업하게 되었습니다.
윤미주 프론트 개발자
대기업에서 회계업무를 하다 돌연 쇼핑몰과 네일샵 창업, 이후 전문직에 갈증을 느껴 회계법인에서 일하신 경험이 있습니다. 세무회계법인에서 경험한 불편한 업무처리 방식 및 엑셀을 통해 수기로 정리하는 것을 자동화하고 싶다는 생각에 개발자가 되기 위해 마음을 먹습니다. 이후 스타트업에 합류하여 프론트 개발자로 성장하고 계십니다.
채용설명회
이 스타트업의 채용설명회가 궁금하다면?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6, 5층 스타트업빌리지
[초기멤버] Junior Backend Engineer (2~5년차) · 경력 2~5년
TypeScript
Ruby
NestJS
[초기멤버] Junior Frontend Engineer (2~5년차) · 경력 2~5년
TypeScript
NextJS
ReactJS
[초기멤버] Product Designer (2~6년차) · 경력 2~6년
Figma
Adobe Illustrator
Adobe Photoshop
-1개 채용 공고 더보기
logo
(주)그룹바이HR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로 150 C동 908호대표 : 임진하 / 박상민사업자등록 : 333-88-02226유료직업소개업 등록번호 : 제 2005-3180270-14-5-00019호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 J1200020230023문의 : hello_world@groupby.biz | 070-8018-7502 (평일 오전 10시 ~ 오후 6시)
instagramkakaotalkyou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