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mbnail
고레로보틱스
Building Tomorrow, Today - Where Innovation meets Infrastructure
#자율주행로봇#건설현장
thumbnail
고레로보틱스
Building Tomorrow, Today - Where Innovation meets Infrastructure
#자율주행로봇#건설현장
위치
서울 마포구
서비스 분야
B2B ‧ 로봇 ‧ 시공/건설 자동화
투자 단계
Pre-A (2024.12.)
finance누적 투자 유치액
127억
account-group-outline전체 / 개발자
14명 / 12명(CTO 있음)
해결하는 문제창업 스토리팀원을 위한 노력보상 및 복지팀 문화채용설명회위치
해결하는 문제

“건설 현장 근로자의 고령화 등으로 최근 건설산업이 어렵습니다. 생산성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죠. 자율주행 로봇을 도입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시험이 다가오면 밤을 새고, 일이 밀리면 야근도 하지만, 건설 현장은 그렇지 않습니다. 야근 자체가 쉽지 않은 환경이죠. 어두운 밤, 자재를 옮기는 데는 위험이 따르고, 인력이 없으면 작업 자체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이런 현실을 지켜보면서 문득 떠오른 생각이 있었습니다. “사람이 없는 야간을 활용한다면 어떨까?”, “로봇이 야간 근로자를 대신할 수 있다면?” 이 상상은 곧 구체적인 아이디어로 이어졌습니다. 현존하는 기술만으로도 충분히 자율주행 로봇을 활용한 서비스를 상용화할 수 있겠다고 판단했어요. 이렇게 큰 꿈을 품고, 실제 건설 현장의 다양한 유형에 맞춰 자율주행 로봇 3종 시리즈를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Point 01

혁신적인 인텔리전트 컨스트럭션 시대의 시작

4차 산업 시대에도 불구하고 건설 산업은 통신이 불가능한 건설 현장 특성상 스마트 기술이 완벽하게 접목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고레로보틱스는 로봇, 자재 데이터와 통신 가능한 건설 현장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또한, 로봇, AI, BIM 등 첨단 기술을 시스템에 접목하여 건설 산업 전반의 Game-Changer가 되고자 합니다. 


Point 02

디지털 트윈 세계 속 로봇과의 소통

인텔리전트 컨스트럭션의 필수 조건인 ‘효율 극대화’와 ‘위험관리 최적화’를 위해 저희는 건설 현장의 디지털 트윈을 구축할 것입니다. 로봇들의 센서값과 자재들의 위치 정보는 클라우드에 자동 업데이트되어 실시간으로 디지털 트윈 세계에 반영됩니다. 또한 고레로보틱스가 개발한 자율주행, AI 소프트웨어를 디지털 트윈 환경 속에서 테스트하여 실제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수에 대해 미리 대응할 수 있습니다.


Point 03

자체개발 APP WERO로 자재 이동 현황을 한눈에-

WERO 앱을 통해 관리자는 태블릿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로봇의 경로를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고, 디지털 트윈 환경과 클라우드로 업로드 된 정보에 접속하여 자재의 이동 상황과 갑작스러운 이벤트에 대한 실시간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공사는 공정률을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양중 데이터를 엑셀과 스프레드시트 플랫폼으로 손쉽게 내보낼 수 있습니다. 


Point 04

근로자와 상생하는 로봇을 위해

저희 고레로보틱스는 현재 건설산업이 직면한 현장 근로자의 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해 근로자와 공존 가능한 로봇과 이에 맞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고레로보틱스의 로봇은 현장 근로자와 AI 언어 모델을 통해 실시간 대화를 진행해 작업이 더 원활해지도록 하며, 건설 산업 야간 양중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통해 일자리 창출 및 근로자의 효율적인 하루 제공을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https://groupby-public-image.s3.ap-northeast-2.amazonaws.com/startups/533/1712738422/고레 1.JPG
창업 스토리
Q. 고레로보틱스 어떻게 창업되었나요?

저는 포스코이앤씨에서 10년 넘게 엔지니어로 일하며 건설 현장에 대한 애정을 키워왔습니다. 현장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더 큰 무대에서 제 뜻을 펼쳐 스마트 건설 혁신을 실현하고자 창업을 결심하게 됐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일부 건설 현장이 마치 ‘필름카메라’ 같다고 느꼈습니다. 물론 아날로그 방식의 중요성도 매우 크지만 건설 현장에 새로운 기술과 프로세스를 도입한다면 더욱 효율적인 현장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갈수록 어려워지는 건설 현장에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여러 솔루션들을 고민했는데요. 여러 창업 아이디어를 고민한 끝에 건설 현장에 최적화된 ‘자율주행 로봇’ 개발에 뛰어들게 되었습니다.

출처

Q. 고레로보틱스 어떤 회사인가요?

인텔리전트 컨스트럭션의 시대 고레로보틱스가 이끌어갑니다

고레로보틱스는 자율주행 로봇을 활용한 건설 자재 새벽 배송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고레로보틱스는 포스코그룹의 사내벤처 제도인 ‘포벤처스(POVENTURES)’의 지원을 토대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해, 분사한 지 어느덧 2년을 앞두고 있는데요. 자율주행 로봇 등 스마트 솔루션을 건설 현장에 도입해 자재 운반을 자동화하고, 수집한 물류 데이터를 기반으로 건설 현장의 디지털 전환을 적극 지원하는 스타트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고레(Gole)’는 모듈러의 대명사인 ‘레고(LEGO)’를 오마주한 이름입니다. 다양한 형태의 건설 자재를 효과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모듈러* 방식의 로봇을 설계해 스마트 건설 현장의 혁신을 이끌겠다는 뜻을 담고 있죠. 실제 건설 현장에는 관재류, 판재류, 박스류 등 자재 종류가 매우 다양하므로 이를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모듈러 접근법이 필수라고 생각해 이렇게 지었습니다.


저희 고레로보틱스의 가장 큰 경쟁력타깃팅이 명확하다는 점입니다. 많은 로봇 개발사나 연구소는 ‘범용성’을 우선 목표로 삼아, 다양한 분야에 두루 쓰일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합니다. 예를 들어 휴머노이드 로봇은 가정에서 가사를 돕거나 공장에서 자동차를 조립하는 등 여러 분야에 적용되죠. 물론 유용할 수 있지만, 범용성은 때때로 상용화를 늦추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반면 저희 로봇은 목적이 분명하고, 기능은 단순합니다. 오직 건설 현장에 최적화된 솔루션만을 고민하고 개발하죠. 실제로 물류창고나 공항 등 다른 산업 현장에서도 쓸 수 있느냐는 문의를 자주 받지만, “아니요”라는 저희의 대답은 늘 같습니다.

고레로보틱스는 오로지 건설 현장을 위한 로봇을 만든다는 초심을 지켜가고 있으며, 그것이야말로 저희의 차별화된 경쟁력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출처

Q. 현재까지 성과가 궁금해요

2023

  • 08월 고레로보틱스 법인 설립
  • 09월 12억 규모 미국 실리콘밸리 VC 투자 유치
  • 09월 경기도 광주 공동주택 현장 PoC 성료
  • 1 1월 2024 CES [Robotics] 분야 혁신상 수상

2024

  • 04월 고레로보틱스 미국 법인 설립
  • 07월 국내 최초 정부지원 3관왕 달성
  • 10월 인천 송도 공동주택 현장 공개 PoC 성료
  • 12월 57억 규모 Pre-A 투자 유치

2025

  • 02월 Open AI 주관 빌더랩 초청 참석

Q. 고레로보틱스 그리는 미래, 비전이 궁금해요

Vision

건설 현장의 혁신을 만드는 로봇 테크 기업

우리는 건설 자동화의 미래를 열어가는 로봇 테크 기업입니다. 우리는 첨단 자율주행 로봇 솔루션을 통해 건설 현장의 생산성과 안전성을 높이고, 더 나은 작업 환경을 만들어 갑니다.


Revolution

혁신적이고 효율적인 제품을 제공해 업계의 새로운 혁명

Sustainability

생산성,안정성,정밀도 향상 목표

건설 우수성의 장점을 반영

Development

산업발전을 위해 건설의 가능성을 재정의하기 위해 노력

Q. 투자는 어떻게 받으셨나요?

고레로보틱스는 건설자재를 옮기는 로봇을 개발하고 있는 국내 스타트업 기업이다. 포스코그룹 사내벤처로 출발해 올해 설립했다. 이번 전시에 선보인 에어는 로봇 프레임 대부분을 에어튜브로 제작해 기존 보유 AMR 대비 무게를 60% 이상 절감하고 연비를 180% 이상 개선시켰다. 최대 운용 가능 시간은 10시간으로 기존 대비 약 66%가량 늘었다.

에어는 에어튜브로 구성된 3단의 선반을 탑재했으며 선반에 자재를 실을 수 있다. 에어튜브 선반에 아래 단부터 순차적으로 바람을 넣고 빼는 방식으로 중력의 힘을 이용해 자재를 옮긴다. 에어는 물건을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해 1개 모터만으로 자재를 배출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기존 4개 모터가 필요했던 제품과 비교해 경량화를 이뤘다.

건설현장에서 중량물을 나르기 위한 로봇은 크고 무거워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깨고 로봇의 주요 프레임을 과감하게 풍선으로 구성했다. 고레로보틱스가 만들던 기존 자율주행로봇과 비교해 무게를 60% 이상 절감했고 연비도 180% 이상 개선시켰다. 운용시간도 기존 6시간에서 10시간으로 대폭 늘렸다.

고레로보틱스는 이 같은 기술력을 기반으로 2023년 9월 미국 실리콘벨리 벤처 캐피탈(VC)로부터 12억원의 투자금 유치에 성공했다. 이번에 CES 혁신상까지 수상하면서 미국 시장에 눈도장을 찍었다. 국내 충남아산과 경기광주에 위치한 공동주택 건설현장에서 필드테스트를 수행하고 있다.


출처: - 블로터 (bloter.net)

Q. 어떤 분을 찾고 계신가요?

Empowering the Future of Construction through Cutting

고레로보틱스는 자율주행 로봇 솔루션으로 건설 현장 자재를 새벽 배송함으로써 운반 비용과 공사 기간을 줄이고 건설 현장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합니다. 우리는 CES 혁신상을 수상하고, 세계적 수준의 연구실/대기업들과 MOU를 체결하는 등 혁신적인 기술력을 인정받아 로봇 산업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유수의 글로벌 투자자들이 함께하는 고레로보틱스에서 세계적으로 성장해나갈 인재를 모집합니다.

팀원을 위한 노력

목적지는 실리콘밸리, 우리 여정에 당신을 초대합니다

· 국내외 권위있는 Robotics 연구실(RoMeLa)과 R&D 

· 자사 국내 연구원 실리콘밸리 파견 (예정)

보상 및 복지
Q. 얻을 수 있는 보상이 있나요?

이 회사는 이제 제 겁니다

· 협의 하에 스톡옵션 부여 

Q. 복지가 궁금해요

고레로보틱스와 함께하면 이런 점이 좋아요!


회사의 성장만큼 중요한 개개인의 성장

· 업계 최고 수준의 전문가와 협업 및 커넥션

· 논문, 지적재산권 등록 권장 및 보장

· 정기적 기술/초정 세미나 진행


열심히 일한 만큼, 열심히 쉬면 됩니다

· 여행 플랫폼 제휴 할인 (코레일, 그린카, 아고다 등) 

· 취미/교육 플랫폼 제휴 할인 (롯데시네마, 야나두 등) 

· 기타 협력 제휴할인 (삼성전자, LG전자, SKT 등)


업무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 공덕역 쿼드라 역세권 (도보 6분 이내)

· 창업 허브내 구내식당 이용 가능

· 고사양 작업용 PC 제공

팀 문화
Q. 조직문화는 어떤가요?

How we work 고레로보틱스가 일하는 방식

01 오직 고객을 위해

우리의 의사결정의 중심에는 항상 "고객"이 있습니다. 지금 이 결정이 고객에게 어떤 가치를 주는 것인지에 대해 끈기있게 고민합니다.

02 스스로 몰입

우리는 스스로가 업무를 선택하여 일합니다. 보다 나은 성과를 만들기 위해 항상 더 나은 방법을 고민하고, 나의 역할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업무에 선을 두지않고 적극적으로 참여합니다.

03 반드시 필요한 일만

일을 위한 일을 하느라, 정작 중요한 일의 본질을 놓치지 않습니다. 일을 방해하는 절차, 형식, 양식 등 불필요한 일은 하지 않습니다. 지금 해결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일에만 집중합니다.

04 주저없는 실행력

일단 해보지 않으면 아무것도 알 수 없습니다. 우리는 빠르고 대담한 실험과 시도를 통해 비즈니스를 성장시킵니다.

Q. 어떤 분들과 일하는지 궁금해요
이동민 대표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서울건축연합 초대회장 포스코 건설 건축사업본부 10년
채호식 CTO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UCLA RoMeLa 로봇연구실 박사
위치
서울특별시 마포구 백범로 31길 21 서울창업허브 별관 313호
건설 자율주행차량 SW 엔지니어 - Control · 경력
C
건설 자율주행차량 SW 엔지니어 - Planning · 경력
C++
건설 자율주행차량 SW 엔지니어 - SLAM and Estimation · 무관
3D Rendering
건설 자율주행차량 HW 엔지니어 - 전장설계 · 경력
C
10개 채용 공고 더보기
logo
(주)그룹바이HR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로 150 C동 908호대표 : 임진하 / 박상민사업자등록 : 333-88-02226유료직업소개업 등록번호 : 제 2005-3180270-14-5-00019호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 J1200020230023문의 : hello_world@groupby.biz | 070-8018-7502 (평일 오전 10시 ~ 오후 6시)
instagramkakaotalkyou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