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mbnail
그래비티랩스
2년만에 80억 투자유치, 글로벌 MAU 130만, 1년에 20배 성장. 리워드로 만드는 건강습관, 머니워크로 인류 건강수명 연장을 꿈꿉니다.
#머니워크#헬스케어#리워드#빠른 성장#초기 멤버
thumbnail
그래비티랩스
2년만에 80억 투자유치, 글로벌 MAU 130만, 1년에 20배 성장. 리워드로 만드는 건강습관, 머니워크로 인류 건강수명 연장을 꿈꿉니다.
#머니워크#헬스케어#리워드#빠른 성장#초기 멤버
위치
서울 강남구
서비스 분야
빅데이터 ‧ 디지털 헬스 ‧ 원격진료 ‧ 다이어트 ‧ 헬스케어 기기 ‧ 미디어 ‧ 콘텐츠 마케팅 ‧ 퍼포먼스 마케팅 ‧ 그로스 마케팅 ‧ 플랫폼 ‧ UX/UI
투자 단계
Series A (2024.08.)
finance누적 투자 유치액
80억
account-group-outline전체 / 개발자
21명 / 10명(CTO 있음)
해결하는 문제창업 스토리팀원을 위한 노력보상 및 복지팀 문화채용설명회위치
해결하는 문제

매일 할 수 있는 건강 습관 형성으로 전 인류의 건강 수명을 연장합니다.


현대인의 4대 질병 당뇨병, 심장병, 암, 치매에 걸리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고 시점도 점점 빨라지고 있습니다.

일상에서 매일하는 건강 활동을 조금씩 더 챙기는 것 만으로도 위 질병들을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 재택근무 등으로 더욱 활동량이 적어진 현대인들을 매일 걷게 만드는 것을 시작으로,

매일 할 수 있는 건강 습관 형성을 도와, 전 인류의 ‘건강수명’을 연장하는 미션으로 일합니다.


귀찮고 힘든 건강관리, 리워드와 게임요소를 활용하면 매일 습관화할 수 있습니다.

도파민이 넘쳐나는 현대인의 삶에서 내적 동기부여를 만들어 건강 활동을 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는 문제를

우리는 리워드, 게임요소 등의 외적 동기부여로 해결합니다.


일상에서 누구나 하기 쉬운 걷기부터, 식단 기록, 수면 기록, 체중 기록, 혈압측정까지.

내 삶의 모든 건강 활동을 챙길수록 돈이 쌓입니다.

Health is the new Wealth.

https://groupby-public-image.s3.ap-northeast-2.amazonaws.com/startups/380/1706164810/20240125_144054.png
창업 스토리
Q. 그래비티랩스 어떻게 창업되었나요?

저는 생명 연장을 하기 위해 살고 있습니다.


어릴 적부터 죽는 것이 무서웠고, 매일 밤 잠에 들지 못했습니다.

죽는 것을 무서워만하고 죽음에 대한 생각이 날때 도피하던 삶을 살다가 대학 학과 선택 및 진로 의사결정을 할때 머리에 피가 말라서인지 죽음에서 도피하는 것이 아닌 맞서보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죽음에 가장 가까이 있으면서 삶과 죽음에 대해 공부하는 학문인 의학을 선택해 전공하였고 이후 쭉 죽음을 이겨내는 방법을 고민하면서 살아왔습니다.

현대 의학이 질병의 본질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닌, 병에 걸리고 나서 사후 치료와 증상 완화에만 집중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의학 앞단으로 나와서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서비스를 통해 인류의 '건강 수명'을 연장하는 일을 먼저 해야겠다는 생각에 바로 창업을 했습니다.


그래비티랩스의 1차 미션은 전 인류의 건강 수명 10년 연장이지만, 나아가 2차 미션은 수명 50년 연장, 3차 미션은 100년 연장, 최종적으로는 죽음을 피할수 없는 것이 아닌, 인간의 선택 영역으로 만들어나가는 일까지 자유의 바운더리를 연장해내는 것을 목표로 장기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Q. 그래비티랩스 어떤 회사인가요?

누구보다 빠른 성장


한국,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글로벌 111개국에서 사용하는 앱

출시와 동시에 글로벌 론칭을 하여 1년만에 글로벌 111개국의 유저들이 사용중입니다.

한국에서 글로벌 서비스를 만들어나갈 수 있는 엄청난 매력은 저희의 가슴을 뛰게 합니다.


2년만에 월 매출 100배 성장, BEP 돌파

월평균 30%, 주 평균 7% 성장하여 1년 반만에 월 매출이 100배 성장했고, 월 BEP를 돌파했습니다.

글로벌 서비스를 하면서도 수익화가 가능한 제품 설계로 글로벌에서 임팩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DAU, MAU 100배 성장

23년 2월 말 첫 출시된 머니워크는 2년만에 MAU 120만을 기록했습니다.


유저 수 400만+, 앱스토어 1위

23년 7월, 출시 5개월 만에 앱스토어 건강 분야 1위, 전체 무료 앱 순위 2위를 기록했습니다.

현재 한국 건강앱 액티브 유저 기준 3위, 일본 8위를 기록했고 누적 회원가입 수 400만을 돌파했습니다.


스타트업 혹한기에도 80억원 투자유치

그래비티랩스는 최고의 투자자들로부터 설립 2년만에 누적 80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스타트업 펀딩 혹한기에서도 성장성과 가능성을 인정받아 24년도 하반기 50억원의 신규 투자유치에 성공했습니다.


매월 50억 칼로리를 소모하는 건강 임팩트


매월 머니워크를 통해 유저들이 걸은 거리는 지구 30바퀴를 돌고도 남습니다.

근 1개월동안 머니워크 유저들은 1,000억보를 걸었습니다. 

지구 30바퀴를 넘고, 이를 통해 소모한 칼로리는 50억 칼로리 입니다. 

걷기 외에도 앞으로 더 큰 건강 임팩트를 낼 수 있는 건강한 활동을 유도합니다.


걷기 실천으로 감축한 온실가스는 월 15,000톤입니다.

자동차, 대중교통 대신 걷기로 만보를 걷는 경우 온실가스를 1.4kg 감축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근 1달동안 머니워크 유저들이 만보를 걸음으로서 감축한 환경적 효과는 온실가스 15,000톤을 감축한 효과입니다.


세상을 바꿀 수 있는 리텐션


D1 리텐션 60%, 매우 높은 리텐션 플래토

일반적인 앱의 D1 리텐션 25%의 2배가 넘는 리텐션을 기록중입니다. 

리텐션 20%면 기업가치 1000억, 40%면 유니콘, 60%면 세상을 바꾸는 기업이 나온다고 합니다. 

D1 뿐만이 아니라, N-Day 리텐션 기준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미친 높이의 리텐션 플래토을 그리며 성장 중입니다.


업계 1위 리워드와 매출,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업계 최고 리워드: 5000보에 200포인트 이상

리워드를 많이 줄 수록 유저들이 느끼는 프로덕트 밸류가 커집니다.

꾸준히 걷기 등 건강 습관 형성을 위해 노력한 유저는 보상을 받아 마땅하고,

우리는 가장 많은 보상을 주어, 건강한 습관 형성을 가장 강력하게 유도합니다.


시장 내 경쟁 1위 업체의 3배가 넘는 유저 당 매출

지속가능하지 않은 방식으로 높은 리워드를 주는 경쟁사와 달리,

업계 최고 유저당 매출, 업계 1위 경쟁사의 3배가 넘는 단위 매출로

Unit Economics 상 이익이 나오는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성장률이 가파르고 규모가 큰 시장


Phase1. 1000조원의 글로벌 광고 시장

그래비티랩스는 2024년 연 매출 100억원 이상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3년 뒤 DAU 1000만명 이상을 달성하며 글로벌 1위 헬스케어 앱을 만듭니다.

이 시점에 예상되는 온라인 광고 매출은 연 1조원 이상이고 

PSR, PER, Peer Valuation으로 계산되는 기업가치는 5조원 이상 입니다.

그래비티랩스는 글로벌 광고 네트워크를 가장 잘 활용하여 수익화를 하고 있는 

글로벌 1위 알람 앱, 알라미를 개발한 딜라이트룸의 전략적 투자를 받아, 광고 수익화 협력을 통해

국내외 경쟁사들에 비해 압도적인 광고 최적화 이점을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Phase 2. 성장률이 가파른 데이터 비즈니스 시장

리워드를 기반으로 Mass User를 획득하고, 이들의 건강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수집한 건강데이터를 기반으로 Real World Data 시장에서 비즈니스 기회를 찾습니다.

해외 헬스케어 유니콘의 모델을 벤치마크하여 건강 데이터 시장을 선점합니다.


진짜 글로벌 제품을 만든다는 매력


국내 스타트업 씬에서 근래 가장 빠르게 성장한 팀들은 한국 고객들을 타겟하며, 높은 인구밀도의 특성을 활용하거나 대한민국 국민들만의 니즈를 해결하는 스타트업이 대부분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에서 먼저 사업화에 성공하고 나서 몇년 뒤에 글로벌 진출을 계획하고 실행해보지만, 초기 세팅부터 한국에 로컬라이징이 강하게 된 비즈니스 모델과 제품을 가지고 해외에 진출하다보니 대부분 어려움을 겪습니다.

그러나, 그래비티랩스는 시작부터 글로벌 유저들을 대상으로 프로덕트를 운영하기 시작했고, 수익화 또한 글로벌을 대상으로 시작했습니다. 또한 제품 타겟 유저도 국경을 가리지 않습니다. 전 세계 누구나 걸을 수 있고, 일상속에서 리워드를 받고 싶어하는 욕망이 있습니다. 이 니즈는 글로벌 경제 악화와 고물가 - 고금리로 인해 이미 심화되고 있고, AI로 인해 벌어지는 빈부격차에 더 강해질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전 세계적으로 유행한 COVID19으로 재택 근무가 확산되고, 컨텐츠 발달로 더 많은 현대인들의 활동량이 줄어들어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이후 비만율 증가, 만성질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평균 건강 수명이 짧아지고 있어, 꾸준한 건강 관리가 필요합니다.

그래비티랩스에서는 글로벌 유저들의 금전적 니즈를 충족시키면서도 건강을 선물하여 세상에 긍정적인 임팩트를 남기고, 글로벌리 워킹하는 확장성 있는 비즈니스 모델과 프로덕트를 만들어, 전 세계 사람들이 매일 사용하는 제품을 만들 수 있다는 매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탄탄한 유닛 이코노믹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속가능한 성장


지난 몇년간, 스타트업 업계에서는 '블리츠 스케일링'이 성장의 방정식처럼 여겨져왔습니다. 제품의 비즈니스 모델을 검증하기 전에 먼저 유저를 빠르게 확보하고 그 뒤에 BM을 붙여서 수익화한다는 성장 전략이 마치 정답처럼 받아들여졌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성장한 많은 스타트업들이 수익화에서 어려움을 겪고, 수익화 과정에서 기존의 유저 경험과 가치를 주지 못하였고 매크로 시장의 경기 불황으로 스타트업 혹한기가 찾아온 지금, 검증된 비즈니스 모델과 탄탄한 유닛 이코노믹스가 더 강한 경쟁 요소가 되었습니다.

그래비티랩스는 최초부터 탄탄하고 지속가능한 유닛 이코노믹스 설계에 가장 큰 비중을 주면서 사업개발을 해왔고, 이것이 지금의 시장에서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우리 팀은 ‘숫자로 표현되는 비즈니스’에 집착합니다.

비즈니스 방향성과 프로덕트의 방향성은 align 되어야합니다. 팀의 미래와 방향성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때, 가슴뛰는 비전과 함께 탄탄한 논리로 설계된 financial projection을 기반으로 함께합니다. 비즈니스에 영향을 주는 모든 factor나 지표를 변수화 하여 이 지표 하나하나가 변화했을 때 전체 비즈니스에 끼치는 나비효과를 bird-eye view로 보며 매주 의사결정을 합니다.

예를들어, 리텐션 a% 상승, 유저당 매출 b% 상승, CAC c% 감소 중 어떤 지표의 개선이 비즈니스 임팩트 상 가장 큰지를 판단할 때 기존 지표와 근거, 외부 레퍼런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교하게 설계된 프로젝션 모델을 보며 의사결정합니다. 데이터와 근거, 레퍼런스 기반으로 나아가기 때문에 더욱 강한 확신과 자신감으로 비즈니스를 펼쳐나갑니다.

이렇게 설계와 모델링을 정교하게 하지만, 이 모델링에만 의존하여 의사결정 하지는 않고 가끔은 과감한 수도 두고, 강한 직관으로 움직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모든 의사결정은 숫자를 기반으로 직관을 첨가해서 가장 나은 의사결정을 하고, 빠르게 이터레이션을 해서 최대한 많은 레슨런을 쌓아나갑니다.

Q. 현재까지 성과가 궁금해요
  • 회사 설립 2년만에 누적 투자 80억원
  • 출시 1년만에 MAU 100만, DAU 50만
  • 글로벌 111개국 유저 확보.
  • 쿠팡, 라포랩스,올웨이즈, 센드버드 등 출신 등 높은 인재밀도의 팀원들.
  • 국내 헬스케어 앱 전체 3위
  • 월 매출 13억, 매월 30% 성장 중, 이익 발생
Q. 그래비티랩스 그리는 미래, 비전이 궁금해요

Mission

매일 할 수 있는 건강 습관 형성을 도와, 인류의 건강 수명을 연장한다.


Vision

모두가 매일쓰는 건강앱을 만들어,

건강 관리의 패러다임을 사후치료에서 사전 관리와 예방으로 바꾼 회사가 된다.


  1. 누구나 할 수 있는 걷기, 누구나 좋아하는 리워드로 Mass User 일상에 침투
  2. 걷기에서 확장하여 식단, 체중 기록, 수면 기록 등 일상적 건강 관리에 리워드 제공
  3. 일상 건강 기록에서 확장, 건강 검진, 복약, 처방전 등 포괄적 건강 기록 동기부여
  4. 데이터 기반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및 순응도 비례 리워드로 순응도 증가
  5. 서비스 이용으로 증진된 건강 증명시 보험 할인 및 개인 맞춤형 보험 추천
  6. 건강 데이터 및 보험 정보 기반 치료부터 관리까지 개인화된 의료 서비스 제공
Q. 투자는 어떻게 받으셨나요?

글로벌 시장에서 1위를 할 수 있는 리워드 기반 헬스케어 앱의 비전을 인정 받았습니다.

실질적으로 그로스를 도와줄 수 있는 초기 투자자를 파트너로 확보했습니다.

  • FI 투자 및 멘토링: 베이스인베스트먼트(토스 코파운더 이태양 파트너님 멘토링 등)
  • 헬스케어 SI : GC 녹십자홀딩스, 서울대기술지주, TAIL Ventures
  • 글로벌 진출, 수익화 SI : 딜라이트룸(알라미 앱 개발사)
Q. 어떤 분을 찾고 계신가요?

그래비티랩스의 핵심가치 v2.1

그래비티랩스는 아래의 핵심가치를 기반으로 일하고, 피드백하고, 평가하고, 보상합니다.


Excellence in Ability, Big Impact / '역량적 탁월함'으로 '큰 임팩트'를 만든다.

핵심가치 설명: 우리의 팀에는 역량이 탁월한 팀원들만 존재한다. 탁월한 역량이 있어야 서로를 온전히 믿을 수 있고 이로서 조직 내 비효율이 줄어든다. 이 탁월한 역량을 기반으로 큰 임팩트를 만들고 수준 높은 결과를 보여줘야한다.


Deliver Results with Grit / ‘그릿한 태도’로 ‘결과를 낸다’.

강한 끈기를 기반으로 포기하지 않고 일을 추진해서 변명없이 결과를 반드시 만들어낸다.

우리는 프로이고, 프로는 결과로 말한다. 그릿함도 중요하고, 그 끝에 반드시 나와야하는 것은 결과이다.


Know & Wow the Customer / ‘고객을 이해’하고 ‘감동을 준다’.

우리는 전 세계인을 건강하게 만들고 이들의 삶을 더 좋게 만들기 위해 존재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 각자는 각자의 고객을 더 잘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고객들에게 감동을 준다.


Move Fast with Flexibility / ‘유연함’을 가지고 ‘신속하게 실행’한다.

실패가 두려워 완벽함을 추구하다 느려져 시간을 잃지 않고, 유연한 사고와 해결책으로 빠르게 실행한다.

시간이라는 자원이 가장 가치있고 희소하다는 것을 알고, 팀 전체가 신속한 업무 리듬을 강화해 나간다.


Learn Proactively and Share / ‘주도적으로 학습’하여 ‘팀에 공유’한다.

내가 모르거나 실패한 것도 용기있게 드러내고, 동료를 활용하거나 스스로 학습하여 주도적으로 성장한다.

실험의 성공 실패에서 핵심 레슨런을 뽑아내고, 이를 적극적으로 공유하여 팀과 팀원들의 성장을 주도한다.


Kill Satisfaction, Seek Greatness / ‘만족하지 않고’ ‘위대한 목표’를 설정한다.

달성가능한 합리적 목표 설정은 실패와 변화를 겁내는 관성에서 나오며, 위대함을 만들어낼 기회를 빼앗는다.

목표를 달성해도 안주하거나 만족하지 않고, 더 높고 위대한 목표를 설정하여 믿기지 않는 결과를 만든다.


Ask for Feedback and be Open / ‘피드백을 요청’하고 ‘열린 자세로 수용’한다.

더 높은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성장해야하고, 성장을 위해서는 동료의 솔직한 피드백이 필요하다.

솔직한 피드백을 구하기 위한 용기를 가지고 피드백을 요청하며, 진정으로 받아들이는 태도를 가진다.

피드백을 주는 사람은 동료가 진정으로 성장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잘하는 점, 개선할 점을 솔직하게 전달한다.


Challenge and Commit / 결정 전에 ‘챌린지’하고 결정되면 ‘커밋’한다.

동의하지 않을 때 결정이 되기 전에 이유나 근거와 함께 솔직하게 챌린지하며, 존중의 자세로 토론한다.

결정이 내려지면 당초 의견을 반대했던 사람이 구분되지 않을 정도로 성공적인 결과를 위해 완전히 커밋한다.


Company-wide Perspective / 개인보다는 ‘회사를 우선’으로 둔다.

개인보다는 회사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두고 행동한다. 의사결정의 기준은 “이 선택이 회사에게 최선인가?” 이다.

내 직무를 제한하지 않고 회사에서 해결할 문제를 스스로 적극적으로 찾고 해결책을 제시한다.

내 행동과 내가 하는 일과, 내 팀원이 하는 일이 회사 전체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행동한다.

팀원을 위한 노력

아래 복지 내용 제외

  • 매월 CEO, 팀/챕터 리드와 1on1
  • 매월 타운홀, 모든 재무 상황 등 투명하게 공개
  • 챕터별 주간 미팅
  • 웰컴 키트 제공
  • 매월 랜덤 식사 2회
  • 우리만의 독립 사무 공간
  • KPI 및 마일스톤 기반 보상(해외 워크샵, 휴가, 스톡옵션, 현금 등 때때로 다름)
보상 및 복지
Q. 얻을 수 있는 보상이 있나요?
  • 전 직장 이상의 보상 수준.
  • 정규직 전원 스톡옵션 지급.
Q. 복지가 궁금해요

🕰️ 11~18시 코어타임제

🥗점심 식대 1.2만원, 저녁 식대 2만원

💪 운동 지원금

📚 교육/도서 지원금

🍬 무제한 간식과 음료

💻 최고 사양 업무 기기

🎁 웰컴 기프트

🚕 야근 택시비, 역세권 도보 1분

팀 문화
Q. 조직문화는 어떤가요?

그래비티랩스의 핵심가치 v2.1

그래비티랩스는 아래의 핵심가치를 기반으로 일하고, 피드백하고, 평가하고, 보상합니다.


Excellence in Ability, Big Impact / '역량적 탁월함'으로 '큰 임팩트'를 만든다.

핵심가치 설명: 우리의 팀에는 역량이 탁월한 팀원들만 존재한다. 탁월한 역량이 있어야 서로를 온전히 믿을 수 있고 이로서 조직 내 비효율이 줄어든다. 이 탁월한 역량을 기반으로 큰 임팩트를 만들고 수준 높은 결과를 보여줘야한다.


Deliver Results with Grit / ‘그릿한 태도’로 ‘결과를 낸다’.

강한 끈기를 기반으로 포기하지 않고 일을 추진해서 변명없이 결과를 반드시 만들어낸다.

우리는 프로이고, 프로는 결과로 말한다. 그릿함도 중요하고, 그 끝에 반드시 나와야하는 것은 결과이다.


Know & Wow the Customer / ‘고객을 이해’하고 ‘감동을 준다’.

우리는 전 세계인을 건강하게 만들고 이들의 삶을 더 좋게 만들기 위해 존재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 각자는 각자의 고객을 더 잘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고객들에게 감동을 준다.


Move Fast with Flexibility / ‘유연함’을 가지고 ‘신속하게 실행’한다.

실패가 두려워 완벽함을 추구하다 느려져 시간을 잃지 않고, 유연한 사고와 해결책으로 빠르게 실행한다.

시간이라는 자원이 가장 가치있고 희소하다는 것을 알고, 팀 전체가 신속한 업무 리듬을 강화해 나간다.


Learn Proactively and Share / ‘주도적으로 학습’하여 ‘팀에 공유’한다.

내가 모르거나 실패한 것도 용기있게 드러내고, 동료를 활용하거나 스스로 학습하여 주도적으로 성장한다.

실험의 성공 실패에서 핵심 레슨런을 뽑아내고, 이를 적극적으로 공유하여 팀과 팀원들의 성장을 주도한다.


Kill Satisfaction, Seek Greatness / ‘만족하지 않고’ ‘위대한 목표’를 설정한다.

달성가능한 합리적 목표 설정은 실패와 변화를 겁내는 관성에서 나오며, 위대함을 만들어낼 기회를 빼앗는다.

목표를 달성해도 안주하거나 만족하지 않고, 더 높고 위대한 목표를 설정하여 믿기지 않는 결과를 만든다.


Ask for Feedback and be Open / ‘피드백을 요청’하고 ‘열린 자세로 수용’한다.

더 높은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성장해야하고, 성장을 위해서는 동료의 솔직한 피드백이 필요하다.

솔직한 피드백을 구하기 위한 용기를 가지고 피드백을 요청하며, 진정으로 받아들이는 태도를 가진다.

피드백을 주는 사람은 동료가 진정으로 성장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잘하는 점, 개선할 점을 솔직하게 전달한다.


Challenge and Commit / 결정 전에 ‘챌린지’하고 결정되면 ‘커밋’한다.

동의하지 않을 때 결정이 되기 전에 이유나 근거와 함께 솔직하게 챌린지하며, 존중의 자세로 토론한다.

결정이 내려지면 당초 의견을 반대했던 사람이 구분되지 않을 정도로 성공적인 결과를 위해 완전히 커밋한다.


Company-wide Perspective / 개인보다는 ‘회사를 우선’으로 둔다.

개인보다는 회사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두고 행동한다. 의사결정의 기준은 “이 선택이 회사에게 최선인가?” 이다.

내 직무를 제한하지 않고 회사에서 해결할 문제를 스스로 적극적으로 찾고 해결책을 제시한다.

내 행동과 내가 하는 일과, 내 팀원이 하는 일이 회사 전체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행동한다.

Q. 어떤 분들과 일하는지 궁금해요
김운연 CEO
연세대학교 의학과, 경기과학고 졸, 스타트업 2회차
박찬웅 CSO/PO
KAIST 전자공학과, 스타트업 창업가 출신, 전 베이스벤처스
김현준 PO
전 소셜 앱 Skrr 창업가 (출시 2주만에 전체 앱스토어 차트 2위 달성) 전 언박서즈, 미라클나잇
양승현 PO
고려대학교 화학과, 전 두잇 PO, 전 올웨이즈 PS, 전 창업가
박건우 Tech Lead
카이스트 정보통신공학, 쿠팡플레이 LV 6-2 Staff Backend Engineer, 전 카사코리아, 스트리미
김도엽 Marketing Lead
서울대학교 기술경영학, 바이오시스템공학과, 전 라포랩스
위치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5길7, 3층
프로덕트 디자이너 채용 공고 · 경력 5년 이상
Figma
Framer
Biz Ops Manager 경영지원 매니저 채용 공고 · 경력 4~9년
Notion
Microsoft Word
Microsoft Excel
콘텐츠/퍼포먼스 마케터(한국) · 경력 3~7년
Tiktok
Meta
Google Ads (SA,DA,App, Video)
콘텐츠 마케터 인턴 · 인턴
2개 채용 공고 더보기
logo
(주)그룹바이HR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로 150 C동 908호대표 : 임진하 / 박상민사업자등록 : 333-88-02226유료직업소개업 등록번호 : 제 2005-3180270-14-5-00019호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 J1200020230023문의 : hello_world@groupby.biz | 070-8018-7502 (평일 오전 10시 ~ 오후 6시)
instagramkakaotalkyoutube